<출처 : RFDH.com 김정훈2님의 글>
http://www.rfdh.com/ez2010/ezboard.cgi?db=qna_main&action=read&dbf=16767&page=0&word=balanced impedance&oldword=balanced impedance&findstart=15806&ftype=subj+cont&depth=1&oldword=matching
Mixer는 3 포트 회로입니다. 5포트가 아니구요.
단지 말씀하신 믹서는 LO와 IF가 balanced 구조로 되어 있는 포트라는 말입니다.
(각각의 신호라인은 Terminal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임피던스 매칭은 Mixer의 balanced impedance를 앞뒤에 붙게되는
block의 임피던스에 맞춰주면 됩니다.
balanced이건 single ended이건 임피던스 매칭은 동일합니다.
단지 구조가 익숙한 single ended가 아니라(신호라인과 GND가 있는)
어려워 하시는것 뿐이죠.
예를들어, balanced 포트가 600 ohm이면 각 Terminal의 임피던스를
GND기준으로 보면 그 1/2인 300 ohm이 됩니다.
다음에 붙게되는 포트가 balanced이면 역시 마찬가지로 각 Terminal
의 임피던스를 찾아 Terminal끼리 임피던스를 맞추고
이걸 balanced구조로 결합하면 됩니다. (그럼 GND를 기준으로 대칭구조가 되겠죠)
만약 다음에 붙는 block이 single ended이면 balun을 사용합니다.
balun도 transformer같은 형태도 있지만 discrete소자로도 구현가능합니다.
대역폭이 좁은 것 단점이지만 적용하려는 분야에 적합하면 가능한 방법입니다.
매칭은 앞에 있는Block의 출력임피던스와 뒤에 붙게되는 block의 입력임피던스를
맞춰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위 두가지를 알고 있으면 중간에 들어가는
임피던스 매칭회로를 설계할수 있죠. 그 중간에 들어가는 것이
개별소자일수도 있고, balun이나 transformer일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balun의 앞단에서 매칭하냐 뒷단에서 매칭하냐는
balun을 포함하지 않고 하는것이 맞는방법이나 적합한 balun이 선정되었다면
포함해서 해도 상관없습니다만 이것 역시 어패가 있죠.
왜냐하면 적합한 balun이 선정되었는데 다시 매칭을 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그리고 제가 알고있기로는 ADS로도 balanced port설정이 가능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http://www.rfdh.com/ez2010/ezboard.cgi?db=qna_main&action=read&dbf=16767&page=0&word=balanced impedance&oldword=balanced impedance&findstart=15806&ftype=subj+cont&depth=1&oldword=matching
Mixer는 3 포트 회로입니다. 5포트가 아니구요.
단지 말씀하신 믹서는 LO와 IF가 balanced 구조로 되어 있는 포트라는 말입니다.
(각각의 신호라인은 Terminal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임피던스 매칭은 Mixer의 balanced impedance를 앞뒤에 붙게되는
block의 임피던스에 맞춰주면 됩니다.
balanced이건 single ended이건 임피던스 매칭은 동일합니다.
단지 구조가 익숙한 single ended가 아니라(신호라인과 GND가 있는)
어려워 하시는것 뿐이죠.
예를들어, balanced 포트가 600 ohm이면 각 Terminal의 임피던스를
GND기준으로 보면 그 1/2인 300 ohm이 됩니다.
다음에 붙게되는 포트가 balanced이면 역시 마찬가지로 각 Terminal
의 임피던스를 찾아 Terminal끼리 임피던스를 맞추고
이걸 balanced구조로 결합하면 됩니다. (그럼 GND를 기준으로 대칭구조가 되겠죠)
만약 다음에 붙는 block이 single ended이면 balun을 사용합니다.
balun도 transformer같은 형태도 있지만 discrete소자로도 구현가능합니다.
대역폭이 좁은 것 단점이지만 적용하려는 분야에 적합하면 가능한 방법입니다.
매칭은 앞에 있는Block의 출력임피던스와 뒤에 붙게되는 block의 입력임피던스를
맞춰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위 두가지를 알고 있으면 중간에 들어가는
임피던스 매칭회로를 설계할수 있죠. 그 중간에 들어가는 것이
개별소자일수도 있고, balun이나 transformer일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balun의 앞단에서 매칭하냐 뒷단에서 매칭하냐는
balun을 포함하지 않고 하는것이 맞는방법이나 적합한 balun이 선정되었다면
포함해서 해도 상관없습니다만 이것 역시 어패가 있죠.
왜냐하면 적합한 balun이 선정되었는데 다시 매칭을 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그리고 제가 알고있기로는 ADS로도 balanced port설정이 가능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